블로그 이미지
closer_

Rss feed Tistory
일상 2009. 11. 14. 21:16

홍차의 종류

홍차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스트레이트티 straight tea / 블렌드티 blend tea/ (향을 가미한) 플레버리티 Flavory tea


아마드 다즐링 100g
18000 / 식품/슈퍼마켓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스트레이트티

스트레이트는 100% 원산지의 차로 만든 것은 전문점이 아니면 구하기 어렵고 대부분 원산지의 차를 바탕으로 블랜드하여 만든 것입니다. 홍차를 만드는 회사에서 이렇게 하는 이유는 원산지 100% 이면 비용이 많이 들고 또 차는 농산물이므로 해마다 풍미가 조금씩 달라지므로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인도는 오늘날 세계 1 위의 홍차 생산국이지만 소비량 또한 제 1위입니다. 북동지방의 다즐링 (Darjeeling), 아삼 (Assam) 과 남인도지방의 닐기리 (Nilgiri) 가 유명한 홍차의 산지입니다.

다즐링(Darjeeling)

원산지 : 인도 북동부의 히말라야 기슭 고지대 (피서지로 유명한 곳입니다)

색 : 오렌지색

마시는 법 : 주로 스트레이트

특징 : 생산량이 적은 비싼 차이며 등급도 다른 홍차와는 다른 기준으로 매겨집니다. 최고급품은 머스캣 (사향) 향이라는 야생화와 같은 향기를 내며 홍차의 샴페인이라고 불리나 이러한 다즐링 차를 실제로 보기는 대단히 어렵습니다. 시중의 대부분의 다즐링 차는 다른 차와 블랜드 한 것입니다.

다즐링 지방은 해발 1200 m 이상의 골짜기이며 밤낮의 기온차가 심하여 안개가 자주 낍니다. 다즐링의 독특한 맛과 향기는 이러한 기후에 의한 것이라고 합니다. 추운 지역이므로 인도의 다른 지역과 달리 내한성이 있는 중국종 차나무가 자랍니다.

아삼 (Assam)

원산지 : 인도 동북부의 정글 지방 (세계 최대의 차 생산지이며 뱅갈 호랑이랑 인도 코끼리가 사는 곳입니다)

색 : 맑고 진한 홍색

마시는 법 : 주로 밀크 티

특징 : 햇볕이 강렬하고 비가 자주 내리는 아삼 지방의 기후에서 나오는 차답게 뚜렷하고 강한 맛과 몰트(malt)의 향기, 색깔이 조화된 차입니다. 블랜드 티의 베이스로 널리 쓰이나 단독으로 마셔도 좋습니다. 예를 들면 아이리쉬 브랙퍼스트 (Irish Breakfast) 같은 것은 거의 100% 아삼 차입니다.


인도 남쪽의 작은 섬인 스리랑카는 세계 2 위의 홍차 생산국입니다. 여기서 나는 차는 옛 이름대로 실론 티 (Ceylon tea) 라고 불리며 고산지대에서 나는 우바(Uva), 딤불라(Dimbula), 누와라 엘리야(Nuwara Eliya) 등이 대표적인 실론 티 입니다.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홍차인 오렌지 페코(Orange Pekoe) 는 실론 티와 인도 티를 블랜드한 것입니다.

우바 (Uva)

원산지 : 실론 섬 남동부 우바 고원지대

색 : 밝은 홍색

마시는 법 : 주로 밀크 티

특징 : 색깔은 약하나 맛과 향이 강한 대표적인 실론 티입니다.




차를 처음 마시기 시작한 사람들은 중국인입니다. 오늘날의 녹차, 오룡차, 홍차는 모두 중국에서 만든 것입니다. 그러나 현대 중국의 차는 주로 녹차이며 홍차는 극히 적습니다.

키먼 (Keemun, 祁門)

원산지 : 중국 안미성(安微省) (상하이 근처이며 아마도 최초로 홍차가 만들어진 곳)

색 : 밝은 오렌지색

마시는 법 : 스트레이트

특징 : 포도나 사과의 향기가 나나 랩상 소총(Lapsang Souchong) 같은 그을음 향이 나기도 합니다. 중국차의 부르고뉴 술이라 불립니다. 잉글리쉬 브렉퍼스트 (English Breakfast) 와 얼그레이 (Earl Grey) 의 베이스로 많이 쓰입니다.

랩상 소우총 (Lapsang Souchong, 正山小種)

원산지 : 중국 복건성(福建省)

색 : 진한 오렌지색

마시는 법 : 밀크티, 아이스티

특징 : 찻잎을 솔잎을 태워서 그을려 만들어 소나무 향이 납니다. 正山 은 진품(가짜가 많았던 모양입니다), 小種 은 다소 큰 찻잎을 의미합니다(차의 등급에도 이 명칭이 쓰입니다). 러시아 캐러번 (Russian Caravan) 에 블랜드로 쓰이는 차입니다.

[딜마]오렌지 페코 1.5kg
110000 / 식품/슈퍼마켓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블렌드티

잉글리쉬 브렉퍼스트(English Breakfast), 오렌지 페코(Orange Pekoe) 등이 이에 속합니다. 차를 만드는 회사에서 여러 산지의 찻잎을 블랜드하여 만든 차입니다 (bland(블랜드, 섞다) 된 것을 brand(브랜드, 상표) 로 판매하므로 브랜드가 아닌 블랜드라고 표기합니다). 홍차가 영국에서 발달하였으므로 로얄 블랜드(Royal Bland), 프린스 오브 웨일즈(Prince of Wales) 등 영국 왕실과 관련된 이름이 많습니다.

잉글리쉬 브렉퍼스트 (English Breakfast)

주 성분 : 실론 차와 인도 차의 블랜드, 또는 키먼(Keemun)

색 : 진한 홍색

마시는 법 : 밀크 티

특징 : 향과 맛이 강하고 카페인이 많으며 가는 찻잎을 써서 빨리 우러나오는 모닝 티 용 차입니다.


아이리쉬 브렉퍼스트 (Irish Breakfast)

주 성분 : 거의 100% 아삼 (Assam).

색 :

마시는 법 : 밀크 티

특징 : 우유와 설탕을 듬뿍 넣어서 마시는 대단히 강렬한 차입니다. 아삼 100% 인 경우가 많습니다.

 

오렌지 페코 (Orange Pokoe)

주 성분 : 실론 차와 인도 차의 블랜드

색 : 밝은 홍차색

마시는 법 : 다양합니다.

특징 : 홍차 하면 연상되는 전형적인 색, 맛, 향기를 내는 가장 대중적인 홍차입니다. 이 명칭은 홍차 등급 (OP) 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로얄 블랜드 (Royal Bland)

주 성분 : 제조회사마다 다름.

색 : 진한 색

마시는 법 : 밀크 티

특징 : 영국 왕실에 납품되는 블랜드라는 의미.

애프터눈 티 (Afrernoon Tea)

주 성분 : 아삼 (Assam) 차

색 : 진한 홍색

마시는 법 :다양합니다.

특징 : 부드러운 맛.

러시안 캐러반 (Russian Caravan)

주 성분 : 랩상 소우총 (Lapsang Souchong) 이나 키먼 (Keemun) 등 중국차와 인도차의 블랜드

색 :

마시는 법 : 밀크티. 러시아인들은 잼이나 꿀을 넣어서 매우 달게 해서 마십니다.

특징 : 바닷길이 열리기 전에는 중국차가 육로로 러시아를 통해서 유럽으로 들어온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아크바 얼그레이 홍차
22400 / 식품/슈퍼마켓
상세보기관련상품보기

향을 가미한 차

찻잎에 베르가모트 (bergamot), 정향나무 (clove), 사과 (apple) 등의 향을 더하여 만든 차입니다.

얼그레이 (Earl Grey)

주 성분 : 키먼 (Keemun) 이나 실론 차 + 베르가모트 (bergamot) 향

색 : 진한 오렌지색

마시는 법 : 스트레이트 또는 아이스 티

특징 : 베르가모트라는 과실의 즙을 찻잎에 섞은 차입니다. 영국의 수상이었던 그레이 백작에게 진상된 것이 그 유래입니다.


애플 (Apple)

주 성분 : 찻잎 + 사과 (apple) 향

색 :

마시는 법 : 스트레이트 또는 아이스 티

특징 : 사과 향


얼그레이를 처음 마셔보고 홍차왕자 만화는 완전 사기구나 생각했다. 얼그레이의 얼굴에서 이런 플라스틱맛이 날 줄은 몰랐기 때문이다. 혹자는 화장품맛, 향수맛, 석유맛이라고 한다. 이들의 공통점을 생각하면 얼그레이를 마셔보지 않은 당신도 어떤 맛일지 상상이 갈 것이다. 하지만 이제보니 홍차왕자들은 홍차의 원산지에 더 중점을 둔 것 같다.

얼그레이는 영국의 백작이었다. (백작은 귀족의 5계급체제중 하나로 순서는 공작-후작-백작-자작-남작 순이다.) 이 사람이 홍차에 처음 베르가못이라는 레몬 비슷하게 생긴 열매의 아로마 오일을 넣어 마신 것이 얼그레이의 시초라고 한다. 얼그레이의 플라스틱맛은 실은 이 베르가모트 오일의 맛이라고.

캔으로 많이 마셨던 실론티의 실론은 사실 쓰리랑카의 옛이름이라고 한다. 쓰리랑카티...


인용출처: 지식iN
원출처는 홍차나라 라고 heartkorea닷com인데 현재는 없어진듯 하다.
,
TOTAL TODAY